전체 글 87

#3. SI 개발자 성장/이직/롤모델/선배 그리고 퇴사

저.. 퇴사하려고요. 여기서 계속 일하다가는...연차만 쌓이고.. 아는 것 하나 없는 A선배처럼 될 것 같아서... 프로젝트를 같이하는 직원 중에 입사한 지 4-5개월이 되어가는 후배가 대뜸 퇴사를 알렸다. 사실 SI 특성상 타 개발직군에 비해 이직률도 높은 건 사실이었기 때문에 퇴사한다는 사실이 놀라운 것은 아니었다. 사람을 귀하게 다루지도 않고, 쾌적한 환경에서 올바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해주는 사람이 있는 것이 아니기에 많은 사람들이 실망하게 되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그 후배는 우리가 흔히 불만인 SI에 대한 이유가 결정적인 것은 아니었기에 충격이었다. 프로젝트를 하는 팀원 중 퇴사한 후배보다 선배인 직원 한 명이 있었는데 연차에 비해 퍼포먼스가 나오지 못했었다. 여기서 말하는 퍼포먼..

Life.log 2023.03.15

[TypeScript] vscode에서 tsc 설치 에러/이 시스템에서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없으므로 C:\Users\~~~~\npm\tsc.ps1 파일을 로 드할 수 없습니다. 자세한 내용은about_Execution_Policies(https://go.microsoft.com/fwlink/?Link..

🔔오류발생 : UnauthorizedAccess tsc : 이 시스템에서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없으므로 C:\Users\~~~~\npm\tsc.ps1 파일을 로 드할 수 없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about_Execution_Policies(https://go.microsoft.com/fwlink/?LinkID=13517 0)를 참조하십시오. 위치 줄:1 문자:1 + tsc main.ts + ~~~ + CategoryInfo : 보안 오류: (:) [], PSSecurityException + FullyQualifiedErrorId : UnauthorizedAccess node.js를 최신버전으로 설치 후 npm install 까지 글로벌로 성공했다. 근데 갑자기 스크립트 보안 오류가 발생한다. 해당 링크..

개발.log 2023.01.06

[서평] Do it! 알고리즘 코딩 테스트 - C++ 편 / 코딩 테스트를 처음 준비하는 취준생의 필독서 후기

기출 유형분석부터 문제풀이 비법까지 단순코딩만 해왔던 내가 본격적으로 이직 준비를 하며, 코딩 테스트에 대해 깊이 있게 공부하기 시작했다. 무작정 백준에서 문제도 풀어보고 프로그래머스를 통해 유형들도 구경했다. 하지만, 알고리즘이 왜(WHY) 필요할까는 찾지못했다. 지금까지는 SI성 개발을 해오며 일정에 쫓겼지 프로그램 시간복잡도나 성능에 쫓기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알고리즘을 쓰는 이유와 필요성을 어디에서 배울 수 있을 까 고민하다 관련된 서적을 찾기로 했다.   코딩 테스트를 준비하거나 개발서적을 구해 본 경험이 있다면 Do it! 시리즈를 알고있을 것이다. 이 시리즈의 가장 큰 장점은 많은 기출문제 유형수록과 실습 그리고 유튜브에서 직강 동영상이 제공된다는 것이다. 저자 직강의 경우 생각보다 ..

REST API/RESTful API Design Guide/REST 디자인 패턴/Http Methods 는 무엇인가 #2

REST의 개념을 이해했다면 이젠 REST API의 디자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REST API Design Guide 1) URL에 Resource를 표현해야 한다. GET /members/1 Resource는 동사보다는 명사를 사용하고 대문자보다는 소문자를 사용하여 표현해야 하고, document(도큐먼트) 이름으로는 단수 명사를 사용해야 한다. collection과 store의 명은 복수 명사를 사용해야 한다. 2) Resource에 대한 행위는 Http Method (GET, POST, PUT, DELETE)로 표현한다. 이때, URL에 Http Method가 들어가면 안 된다. 또한 URL 행위에 대한 동사 표현이 들어가면 안 된다. CRUD 기능을 나타내는 것은 URL에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REST API/RESTful API란/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t API/REST 디자인패턴 쓰는 이유 #1

[공고] Front-end 개발자 채용 저희 회사는 HTTP, RESTful API 클라이언트를 RESTful 하게 개발할 줄 아는 사람을 찾습니다. 최소 3명 이상의 개발팀이 있는 회사가 프런트엔드(Front-end) 개발자를 채용할 때 조건 및 자격요건에 대부분 적혀있는 말이다. 학부 때부터 'REST API로 서비스해야 한다.', '좋으니까 써야 한다.'는 말을 종종 듣곤 했다. 하지만 누군가 나에게 REST API가 뭔데? 왜 써야 하는데?라고 묻는다면 대답할 수 없을 것 같다. 아마 대부분의 개발자들 중에서도 REST API를 정확하게 설명하고 상대를 이해시킬 정도의 개념을 알고 있는 사람이 거의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냥 "클라이언트(Client)와 서버(Server) 간 데이터를 주고받는 ..

빌드(Build)/Jankins 젠킨스/CI도구 써야하는 이유

오늘 수정사항 서버에 반영(Deploy)해야되니까 빌드(배포하기 위한 준비과정)까지 완성시켜놔. 프로젝트를 하다보면 종종 이런 말을 듣게됩니다. Jenkins 가 무엇인지도 잘 모르는데 무작정 사용법만 익혀 이해해야했던 시간을 되돌려 그 의미와 사용법을 알아봅니다. Build? 빌드란 Jenkins를 이해하기 위해선 빌드의 개념을 이해해야 한다. 빌드는 서버에 올라갈 수 있는 형태로 만드는 것. 예를들어 SpringBoot 어플리케이션을 Maven이나 Gradle로 빌드하여 .jar이나 .war로 만드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빌드 툴의 경우 Java는 Maven과 Gradle이 자리잡고 있으며 이 빌드 관리 툴을 사용하는 것은 빌드 자동화를 하기 위해 즉, 젠킨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서라고 이해해도 ..

PoC(Proof of Concept) Project 개념증명 프로토타입

POC(Proof Of Concept) Project: 기존 시장에 없었던 신기술 및 개념을 도입하기 전에 이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 SI 3년차 처음으로 POC라는 말을 들었다. 매번 수주된 프로젝트 위주로만 수행을 해왔기 때문에 들어본 적이 없었다. 새해 첫 프로젝트로 POC를 맡게되며 이번엔 POC를 확실히 정리해보고자 한다. POC란 Proof of Concept 의 약어로서 쉽게말해 이미 시장에 나오지 않은 차기 제품의 성능과 기능을 미리 제시하도록 한뒤 프로젝트 여부 혹은 차기 기술 도입 시 필요 장비를 정하는 프로토타입(Sample) 느낌의 개념증명이라고 할 수 있다. 말그대로 기술의 실현가능성 증명하는 것. 차기 프로세서 로드맵을 구매하기로 한 국내 대형 금융권의 경우 본 계약 전 ..

IT Story 2023.01.03

[Firebase] 가고싶은 회사 무작정 따라해보기#2 - Firebase 설치/Node.js/Vscode/Backend Server구축

Firebase로 당근마켓을 어느 정도 구현한 유튜브 채널(코딩애플)을 발견했다😎 덕분에 초반은 클론코딩으로 진행하며, 틀을 만들어 보려고 한다. 자세한 코드는 해당 채널에서 모두 게시하고 있으므로 필요하다면 채널로 방문하면 될 것 같다. 화면 구성에 필요한 node.js와 vscode 에디터는 미리 설치되어있다는 가정하에 포스팅하였다. 1) Firebase console 접속 Google에 firebase console 검색해서 들어간 뒤 프로젝트 추가 해준다. Google 계정이 있어야하니 혹시라도 가입하지 않은 사람들은 가입을 해야 한다. 2) Firebase console에서 필요한 기능추가 이후 필요한 기능들을 [시작하기] 버튼을 눌러 사용할 수 있도록 추가해주면 준비가 끝이다. 🔔 Firest..

개발.log/firebase 2023.01.03

[Firebase] 가고싶은 회사 무작정 따라해보기#1 - Used Transaction Service/당근마켓 Carrot Market

처음 당근마켓 서비스가 나왔을 때, 기존에는 이미 유사한 형태의 Used Transaction Service는 존재했다. 이 서비스를 처음 알게된 후 눈길을 사로잡았던 건 귀여운 캐릭터와 센스있는 UI/UX였고, 실 사용 후 느낀 점은 '기존에 있는 서비스와 비슷한데 사람들이 굳이 이걸 사용할 이유가 있을까?' 였다. 기존 서비스와 차별점이라 함은 전국기반이 아닌 동네기반으로 좁은 범위 거래로 제한한 서비스 정도였다. 하지만 이 마저도 나에게 와닿지 않았던 이유는 당시 나는 중고거래를 활발하게 하지 않았던 터라 주 타켓층이 아니었던 것이다. 하지만 대학에 진학하고 취업을 하며 생활이 바뀌니 중고거래를 필요로 하는 당근마켓의 주 타켓층이 되었다. 이 서비스의 진가는 지금부터 시작이었다. ✨동네기반 중고거래..

개발.log/firebase 2023.01.02

#2. 첫번째 움직임/현실을 마주하는 포트폴리오 작성하기/경력기술서 작성하는법/이력서작성법

마음먹으면 절반은 성공이라 했다. 무엇이든 지금 당장 움직여라. 망설이는 순간은 성공의 1%를 부족하게 만든다. 대학교 졸업 후 흔히 말하는 칼취업으로 취업을 하며 빈틈없이 일상을 채워나갔다. 그래서일까 벌써 3년 차인 지금 마음만 앞서고 자꾸만 조급해진다. 그런 마음이 들 때마다 생각을 정리하고 일의 순서를 세분화하기 위해 블로그를 남기고 있다. 입사 전 나는 SI가 무엇을 하는 회사인지 몰랐다. 그냥 개발자라고 하면 모두 같은 일을 하고 비슷한 커리어를 만든다고 생각했다. 심지어는 1년차까지도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알지 못했다. 혹시라도 이 글을 보고 있는 독자가 나와 비슷한 상황이라면 지금이라도 빨리 현실을 파악하라고 말해주고 싶다. 여느 직장인과 같이 포트폴리오는 입사 이후 열어보지 않았다. 사..

Life.log 2023.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