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87

Nginx, Proxy 그리고 Load Balancer

저희 gateway Nginx로 되어있구요... Nginx란 오픈소스 기반의 웹 서버로서 MIT Lisence이며, 트래픽이 많은 웹 서버에서 사용한다. 📌 웹서버!? 기존에 사용하는 WAS(Web Application Server)와 어떤 차이인지 헷갈릴 수 있을 것 같아 한번 정리하고 넘어가자. 💻 Web Server 단순히 정적 파일을 응답한다. 💻 WAS(Web Application Server) 클라이언트 요청에 대해 동적인 처리가 이루어진 후 응답한다. 아래 공식문서를 보면 "고성능, 확장성, 고가용성 웹서버, 역방향 프록시 서비 및 웹 가속기(HTTP 로드 밸랜서, 콘텐츠 캐시 등의 기능 결합)이다."라고 소개하고 있다. nginx가 만들어진 배경은 1995년 유닉스 기반으로 만들어진 최초의..

[Mac OS] IntelliJ 인텔리제이, OS 업데이트 후 Git(GitHub, GitLab) 연동 안될때

xcode-select: note: install requested for command line developer tools 맥북 사용기 3일차로서.. 새로운 OS로 업데이트 후 사용하던 깃랩이 Disconnection 되었다는 것을 마주하게 되었다... Fix Path를 누르면 뭔가 설치하는 창이 나온다고 하는데 나는 왜 안나오는지 계속 눌렀는데.. 아무런 반응도 없었다 분명.. 현상: 인텔리제이 Git 갑자기 연결안됨 좀 기다리니까 갑자기 뭔가 못보던게 생겼다..(?) 성질 급하게 하지말고 좀 기다립시다. xcode-select (재)설치 하는 방법 여기서부터는 시키는대로 그냥 [설치]만 잘 해주면 된다. Intellij 다시 시작하면 정상적으로 Git이 연결된 것을 볼 수 있다 :)

개발.log 2023.11.24

쿠키 1부 : HTTP로 설명하는 쿠키

쿠키는 클라이언트에 저장되고… 음.. 보안에 좋지 않습니다. - 그럼 보안을 위해서 쿠키는 안 쓰는 게 좋겠네요? 쿠키가 어떻게 서버와 브라우저 간에 이동을 하는지, 그리고 쿠키의 유효 기간과 적용 범위를 설정하는 방법과 쿠키의 한계와 대체 기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HTTP 쿠키(=브라우저 쿠키, 웹 쿠키)란? HTTP 쿠키(cookie)는 서버가 어떤 데이터를 브라우저 측에 저장한 후 다시 그 데이터를 받아오는 기술, 또는 그 데이터 자체를 뜻합니다. 보통 데이터는 서버와 통신하기 때문에 브라우저에서 데이터를 다룬다는 것에 생소하실 수 있지만, 서비스에 따라 데이터를 매번 서버에서 받아오는 것이 비효율적일 때가 있습니다. 바로 이때, HTTP 쿠키를 사용하게 됩니다. 🔥여기서 잠깐 통신하기 위해서..

[네이밍 컨벤션] camelCase, PascalCase, Snake_case, Kebab-Case

method는 camel로 작성해주셔야 해요. repository는 보통 케밥으로 많이가죠? - 사람과 사물 등 모든 것은 이름이 있고, 그 이름은 각자 의미가 담겨있다. 변수명, 상수명, 함수명을 한글로 지었던 기억이 있나요? 🤔아마 특정한 수업과제나 이해를 위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곤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실무는 관습적으로 영어로 네이밍하는 것은 전세계적으로 통용되는 네이밍 컨벤션입니다. 네이밍 컨벤션이 필요한 이유 단어의 의미를 위해 띄어쓰기하면 프로그램은 단어별로 다르게 인식하기 때문에 한 단어라는 것을 알게 해주어야 합니다.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보면, 띄어쓰기 사이에 특수문자를 넣거나 대소문자로 합쳐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살펴보기 dailyTimeLimit : 첫번째 단어는 소문자로, 이후에는 첫..

[우테코] 3주차 회고록, 또 다른 시작

마지막까지 희망을 버려선 안돼. 단념하는 순간, 그 시합은 끝나는 거야. - - 우테코 1,2주차 프리코스에 참여하며 수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열정🔥러 인지 알게 되었고, 개발에 진심인 사람들이 많구나를 다시 한 번 깨닫는 순간이었던 것 같다. 그 사람들과 함께 가려고 힘들더라도 꾸준히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고, 프리코스에 참여하기 앞서 4주라는 시간동안 열정적으로 몰입해보겠다고 다짐했었는데.. 막상 절반정도 몰입하고나니 일상과 진로의 경계에서 더이상 감당하기 어려워졌다. 핑계대며 시간이 없었다고 말하긴 싫었는데... 갑작스러운 퇴사 및 이직결정과 기타 부가적인 사정들로 인해 프리코스를 더이상 진행하기 어려워졌다. 그래도 매일매일 프리코스 문제를 확인하고, 고민하며 성장하는 시간이 기다려지기도 했는데 부담..

객체지향 생활체조 8, 일급 컬렉션이란

이건 일급 컬렉션을 적용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우테코 프리코스를 하면서, 뜨거운 감자🥔였던 일급컬렉션 도대체 이게 뭐길래... 객체지향 생활체조 원칙에서 수도없이 강조하고 있는 이 내용을 다뤄보고자 한다. 일급 컬렉션(First Class Collection) 소트웍스 앤솔로지의 객체지향 생활체조 파트의 규칙 8에서 언급된 내용으로 다음과 같은 규칙을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콜렉션을 포함한 클래스는 반드시 다른 멤버 변수가 없어야 한다. - 각 콜렉션은 그 자체로 포장돼 있으므로 이제 콜렉션과 관련된 동작은 근거지가 마련된셈이다. - 필터가 이 새 클래스의 일부가 됨을 알 수 있다. - 필터는 또한 스스로 함수 객체가 될 수 있다. - 또한 새 클래스는 두 그룹을 같이 묶는다든가 그룹의 ..

백만 달러짜리 실수, Null return이 안좋은 이유

개발을 하다보면 무심결에 null을 return 하도록 했던 적이 종종있다. 그런데, 이런 습관(?)이 백만 달러짜리 실수임을 알고있는가? 오늘 공유할 내용은 null을 리턴하는 코드가 왜 나쁜 코드인지, 코드를 읽는 사람의 입장과 코드 복잡성 관점으로 설명한 글입니다. 토스 tech(https://toss.tech/article/engineering-note-2?utm_source=oneoneone)에 게시된 원문을 바탕으로 이해한 내용을 포스팅합니다. Null 이 왜 나쁜가요? 문제: 의미를 축약한 코드 표현 null 값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이름을 가진 사람이 없는 것은 아닐까? 데이터베이스와 네트워크 연결이 불안정했던 것이 아닐까? “김주디”는 탈퇴한 회원인 것이 아닐까? “김주디”는 운영환경에서만..

면접관이 좋아하는, 기술 블로그 쓰는 법(내가 부정적 사례의 표본일수도?)

[이력서] 링크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이제는 이력서, 포트폴리오에서 필수가 되어버린 [기술 블로그] 나 역시도 블로그를 활용하고 있는 사람으로서 이렇게 작성하고 있는게 올바른가(?) 아니 맞는 방향인지 궁금해졌다. 또 velog, tistory, naver blog 등 다양한 플랫폼부터 다양한 포맷으로 작성되는 글들이 많은데 어떤 블로그가 면접관의 마음을 사로잡는지 알고싶었다. 면접관의 피드백을 바탕으로 그 내용의 일부를 가져와 나의 생각과 함께 포스팅한다. 개요 수많은 개발자의 사례로 인해 개발자 블로그는 취업 스펙이 되어버린 듯하다. 사실 과거에 블로그는 개인 기록의 목적이 강했고 열심히 노력하는 근성, 의욕, 의지에 대한 어필의 장이 되기도 했다. 개발 문화는 ..

SI, SM 가지말라고 하는 진짜 이유

어디든 가도 좋은데, SI, SM만 하지마 취준 당시 필드에 최근까지 계셨던 분이 해주신 말씀이 바로 SI, SM만 하지말라는 것이었다. 이미 블로그 포스팅에서 여러 번 말했지만 정작 SI에 대해 왜⸌◦̈⃝⸍ʷʰʸˀ̣ˀ̣ˀ̣ 인식이 좋지 않은 것인지, 사람들이 말하는 그 솔직한 이유를 적어보려고 한다. Front-end, Back-end 등 기술 전문성이 떨어진다.대부분의 IT 개발자에게 어떤 개발자인지를 묻는다면 80-90%는 "저는 백엔드 합니다.", "저는 프론트에요." 라고 대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마 이 글을 읽게되는 분들도 크게 어떤 기술의 전문성을 생각하고 개발자라는 직업을 선택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SI나 SM(이하 SI)은 기술 전문성이 떨어진다. 그 이유는 si를 하는 회사들..

IT Story 2023.11.08

[서평]《된다! 생성형 AI 사진&이미지 만들기》- 어떤 인공지능에서도 통하는 프롬포트 작성법

우리를 조금 크게 만드는 데걸리는 시간은단 하루면 충분하다.-파울 클레-   최근 AI에 대한 관심이 아주 핫한 가운데 모든 프로그램에 AI가 스며들고 있으며, 이제는 더이상 AI라는 존재를 외면할 수 없는 것 같다. 기술적으로 AI를 말하고 있는 어려운 책들이 많은데 일반적인 사람들이 쉽게 접하고 쉽게 사용법을 익힐 수 있는 유용한 책을 발견하게 되어 소개하려고 한다.  《된다! 생성형 AI 사진&이미지 만들기》는 창의성과 효율을 결합하여 이미지 및 사진 생성에 관심 있는 사람들을 위한 귀중한 리소스입니다. 이 책은 여러 가지 대표적인 생성 AI 알고리즘을 소개하고, 이미지를 신속하게 만들어내는 효과적인 프롬포트 작성법을 제공합니다. 아이콘, 로고, 이모티콘, 캐릭터, 제품, 건축, 책 표지와 같은 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