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동안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어떤 것을 배웠습니까?

2023년 새해가 밝았다. 모든 사람이 그렇듯 새해에는 많은 다짐을 하게 된다. 나의 새해목표는 "이직을 위한 태동기"라는 키워드로서 시작하려고 한다.
처음엔 내가 다니는 회사만 그런 줄 알았다. 아직 몰라서 그렇다고 생각했다. 존버는 성공한다는 말처럼 버티면 배우는 것이 있을 거라고 확신했다. 하지만 이런 생각은 일부는 맞고 일부는 틀렸던 것이다. 어쩌면 나도 현실과 타협하며 조금의 여유를 즐겼는지도 모른다. 열심히 살았다고 생각했던 마음이 흔들리는 순간 방황은 시작되었다.
SI 회사에서 2년 동안 일하면서 경력에 비해 꽤 많은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하지만, 수행했던 프로젝트에서 무엇을 배웠는지 질문했을 때, 개발자로서도 스스로도 대답할 수 없었다...
한국에서의 SI 프로젝트는 프리랜서가 아닌 이상 본인의 의지와 노력으로 인해 무언가 얻는다는 것이 쉽지 않다. 아니 어쩌면 불가능한 일인지도 모르겠다. IT시대, 개발자의 시대라고 불리며 개발 직무에 대한 접근이 쉬워진 것은 사실이나 그 모든 사람들이 진짜 개발자가 되지 못하는 것. 이게 현실이다. 좋은 말이나 장밋빛 미래로 상대를 현혹시켜 학원을 등록하고 국비지원 교육이라는 명목하에 교육만 이수하면 카카오, 네이버와 같은 개발자를 꿈꾸며 시작하겠지만 정작 이수 후 마주하는 차가운 현실은 너무나 가혹한 것 같다.
이 로그를 통해 혹시라도 오해는 금물. 국비교육 자체를 비하하거나 모독하는 것은 아니다. 국비 교육 이후 훌륭한 회사에 취업하여 좋은 개발자로 성장하는 경우도 더러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인력이 SI 회사로 취업하게 되며, 단순 아웃소싱 코더로서의 삶을 살게 되는 것이 현실이라는 걸 아직 경험하지 않은 독자들이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말이다. 그렇다고 코더의 삶이 불행한가? 그렇진 않다.
만약, 본인이 그리는 미래와 진로가 안정성이 있는 기술직이라면 나쁘지 않은 삶이라고 생각한다. 모든 만족의 지표는 스스로에게 맞추면 되는 것이다. 지금의 내 삶이 만족스럽다면 당신은 충분히 최고의 삶을 살고 있는 것이다.
경험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하였지만 모두에게 적용되는 내용은 아닐테니 필요한 부분만 잘 거르시길 바랍니다 :)
'Life.lo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외활동] Wemajor 위메이저 2020 겨울기수서류/면접합격 후기-2 (0) | 2023.06.26 |
---|---|
[대외활동] Wemajor 위메이저 2020 겨울기수서류/면접합격 후기-1 (0) | 2023.06.26 |
#3. SI 개발자 성장/이직/롤모델/선배 그리고 퇴사 (1) | 2023.03.15 |
#2. 첫번째 움직임/현실을 마주하는 포트폴리오 작성하기/경력기술서 작성하는법/이력서작성법 (0) | 2023.01.02 |
#0. 처음쓰는 블로그 : 첫번째 이야기 (0) | 2022.11.23 |